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관련 글/사회

생태학적 이론 - 인간발달에 대한 관점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진화적 시간에 따른 유전적 변화 뿐만 아니라 성숙 및 선택과정에 의해 인간이 형성된다는 발달관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교류를 지지 또는 방해하는 유전적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보고 있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다양한 체계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개인들간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Bronfenbrenner(1979)는 생태학적 환경을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데 네 가지 수준의 체계들 사이의 위계질서라고 한다.


1) 가족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개인을 그가 처해 있는 환경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Hartman은 인간의 환경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가족이라고 하였다. 

가족중심적 사회복지실천의 초점은 가족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며, 사회복지사와 가족은 

가족과 주변 환경 사이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을 해결하는 것이다. 


 2) 집단

자생적 집단이든 사회복지사가 개입하여 의도적으로 구성한 집단이든 간에 집단은 성원들에게 자료를 공유하고, 정보와 사실을 제공하고, 토론주제를 제시하고 토론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 


3) 사회문화 체계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인간을 문화를 형성함과 동시에 문화적으로 형성된 존재로 보기 때문에, 인간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문화적 및 역사적 맥락을 이해해야만 한다.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생활모형(life model)에서는 내담자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적합성을 성취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생활모델에서는 환경과의 상호 작용과정에서 개인이 특별한 생활과업과 성숙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합성을 성취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본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개인을 개입의 기본단위로 보고 있지만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또는 전체 사회에 개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Meyer, 1976; schwartz and schwartz, 1964).

 생태학적 이론에 기반을 둔 생활모형의 접근방법은 행동지향적이며, 단기적인 경향이 강하며, 내담자의 자연적 성장능력을 신뢰하기 때문에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고양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반응형